티스토리 뷰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전, 실업급여 지급 기간과 금액을 알아두면 퇴사 이후의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지난 글에서 알려드린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지급받을 실업급여 기간과 금액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알려드리는계산방법은 컴퓨터, 핸드폰 등 모든 기기에서 계산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기간-금액 계산방법
실업급여 지급 기간과 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1) 네이버 임금 계산기
2) 고용보험 실업급여 모의계산 (추천)
제 개인적으로는 2) 고용보험 실업급여 모의계산이 따로 계산기를 사용할 필요없이 알아서 계산해주어서 편리했습니다.
1. 네이버 임금 계산기
1-1. 네이버→ 임금 계산기 검색→ 실업급여 클릭
1-2. 정보 기입
-퇴직시 만나이: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세요. 50세 미만 / 50세 이상 및 장애인
-고용보험 가입기간: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일정기간동안 가입되어있던 사람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이 가입되는 직장에 다녔던 분은 직장 계약기간을 넣으시면 됩니다.
-퇴직전 3개월의 1일 평균급여액: 퇴직전 3개월 급여액 ÷ 최근 3개월 근무기간 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1-3. 계산하기 클릭→ 결과 확인
설명을 드리기 위해 임의로 정보를 넣어봤습니다. 여러분은 자기 정보에 맞게 기입하셔야 정확한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예시]
만나이: 50세 미만 클릭
고용보험 가입기간: 2년 = 1년 이상~3년 미만 클릭
퇴직전 3개월의 1일 평균급여액: 계산하여 기입.
아쉽게도, 받으시던 1일 급여액이 아무리 높아도 최대 상한가가 정해져있어서 일정 급여 이상으로 받을 수가 없습니다.
2. 고용보험 실업급여 모의계산
2-1. 고용보험 실업급여 모의계산 페이지 실행
https://www.ei.go.kr/ei/eih/eg/pb/pbPersonBnef/retrievePb200Info.do
고용보험 제도 - 개인혜택 - 실업급여 안내 - 구직급여액 모의계산
실업급여 모의계산 해보기 귀하의 구직급여일액(1일)은 원이고, 예상 지급일수(소정급여일수)는 일이며, 총 예상 지급액은은 원 (구직급여일액 x 예상 지급일수) 입니다. 계산하기 초기화 구직급
www.ei.go.kr
실업급여 모의계산 페이지에 들어가서 페이지를 아래로 내리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보입니다.
2-2. 정보 기입
빨간색 별 * 표시가 되어있는 입력사항에 정보를 기입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기입해야 자세한 계산 결과가 나오기때문에 정보가 자세할 수록 좋습니다.
고용보험 실업급여 모의계산은 1일 평균 급여액을 자동적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스스로 계산해서 입력해야하는 네이버 계산기보다 편리했습니다.
위의 그림은 예시를 위해 임의로 기입해본 정보입니다. 그림처럼 정보를 기입한 후에 밑에 있는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3. 계산하기 클릭→ 결과 확인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한 후에 결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타납니다.
예상 지급일수와 지급액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실업급여 기간과 금액 계산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이 글을 통해 쉽게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기간과 금액을 모의계산뿐만 아니라 실업급여 방법을 다른 글에 설명하였습니다. 편리하게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https://kidsgrowing.tistory.com/entry/고용보험-실업급여-신청방법-받을-금액과-기간도-알아두자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방법: 쉽게 신청하자
바로 이직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다니던 직장을 퇴직하시고 고용보험에 실업급여를 신청하시죠. 저도 2월 28일에 마지막 근무를 하고, 평일 기준 바로 다음날인 3월 2일에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
kidsgrowing.tistory.com